한국기자상 수상 소감-취재보도부문(국가기관 불법도청)
X파일 테이프 입수하려다 왜 만들어졌는지로 취재 선회
|
|
|
|
|
▲ 조선일보 이진동 기자 |
|
|
‘X파일 테이프’의 출처를 찾아가는 탐문취재가 별 성과 없이 끝나갈 무렵인 2005년 6월 어느 날. 막 출근하려던 참에 휴대폰 벨이 울렸다.
“여보세요”
“누군지 아시겠죠”
목소리만으로 신분을 ‘알아달라’는 것이었다. 얼굴 없는 익명의 취재원 A였다. 사정당국에서 정보를 다루는 A가 이렇게까지 조심할 정도면 뭔가 ‘큼직한 놈’이 걸린 게 분명했다.
일주일 전쯤 누구를 접촉해야 X파일테이프를 손에 넣을 수 있겠느냐고 A에게 물은 적이 있었다. 그 때 A는 며칠 내로 알아봐 주겠다고 흔쾌히 대답했다.
A의 전화는 X파일테이프의 ‘X파일’로 들어가는 비밀의 문을 알려주려는 게 아닐까하는 짐작은 적중했다. A는 국정원 퇴직자 중 ‘공 서기관’이라는 직원이 도청테이프를 들고 나갔다가 삼성을 협박한 일로 국정원에 압수당한 일이 있다. “X파일은 바로 그 테이프다”고 일러줬다. 주변을 맴돌던 취재가 핵심으로 다가갈 수 있도록 ‘힌트’를 준 셈이다.
X파일테이프를 손에 넣으려던 취재는 이때부터 ‘정보기관의 도청’쪽으로 방향을 선회했다. X파일테이프가 도청의 결과라면 처음으로 드러난 ‘도청 물증’이 될 수 있겠다 싶었기 때문이다. ‘X파일 테이프’를 손에 들고 있는 MBC는 ‘X파일테이프’의 콘텐츠인 정?경?언(政?經?言)유착에 포인트를 맞췄다면 테이프가 없는 입장에선 ‘X파일 테이프’가 왜 어떻게 만들어졌는지에 취재의 초점을 둘 수밖에 없었다.
‘공 서기관’을 찾아내는 일도 녹록치는 않았다. 엉뚱하게 해답은 미국에 망명신청 중인 전 국정원 퇴직직원 김기삼씨에게서 얻어졌다. 김씨는 주저하다 어차피 공 서기관까지 알았다면 시간문제 아니냐는 설득에 ‘공운영’이라는 이름과 ‘미림’이라는 비밀조직명을 알려줬다. 국정원 직원들이 관련된 판결문을 죄다 뒤진 결과, 운 좋게도 공 씨의 주소를 찾아낼 수 있었다.
공 씨를 설득하는 일만 남았다. 처음엔 어디 찾아와 행패냐고 날카로운 반응을 보였지만 공 씨는 이내 많은 걸 털어놓았다. 은폐될 뻔했던 정보기관의 ‘도청’이라는 기본권 침해 범죄가 드러나는 순간이었다. ‘제2, 제3의 X파일테이프’에 들어있을 재벌과 권력간 유착 실상도 언젠가는 기자들에 의해 베일이 벗겨질 것으로 확신한다.
조선일보 이진동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