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지원 선진화 방안, 정보 품질과 취재시간 제약해서는 안돼
[특별기고]권신오 CBS광주방송 기자
|
|
|
|
|
▲ 권신오 CBS광주방송 기자 |
|
|
정부가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에 대한 논란이 뜨겁습니다. 이런 논란에도 불구하고 그리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하지 않았던 지역의 방송기자인 저까지 이런 논란에 휩쓸릴 줄은 몰랐습니다. 그래서 실체를 느끼기는 어려워도 심대한 영향을 주는 법이나 제도를 공기에 비유하는 모양입니다.
지난 19일 국가 청렴위에 전화 취재를 시도하다 이 방안에 대한 일선 기자들의 가장 큰 우려 가운데 하나인 공공기관의 ‘전화돌리기’와 이를 통한 시간벌기성 취재응대의 행태를 경험하고 그 과정을 기자협회 홈페이지에 글을 올린 바 있습니다.
광주광역시 특급호텔 특혜의혹에 대해 청렴위가 조사를 하고 있는지, 마무리됐다면 어떤 처분을 했는지 묻고자 한 것이었습니다. 담당 조사관의 첫 통화를 시작으로 홍보실, 정책관실을 돌아 처음의 조사관에게 다시 전화가 돌아갔고 그로부터 “조사는 하고 있으나 내용은 말해 줄 수 없다”는 간단한 답변을 듣기까지 무려 두 시간여가 걸렸다는 내용입니다.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의 함정이 바로 이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자의 취재는 면대 면(face to face)일 경우 가장 신속하고도 양질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고 언론 교과서에 명시돼 있고 또 지난 기자생활 속에서 경험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이번 취재 경험에서 보듯이 공무원이나 공공기관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한 면대 면 취재를 억제한 상태에서 전화나 온라인, 정보공개 청구 등의 행정절차를 통해 기자들의 취재를 지원하겠다는 것은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잘 알 수 있습니다. 언론의 생명은 시간과 정보의 품질입니다. 이런 전제를 고려하지 않거나 예상되는 문제를 간과하고 이 안이 도입됐을 경우 가장 먼저 예상되는 문제는 취재시간에 압박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각 기관의 인터넷 홈페이지 등을 통한 정보공개 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이 완전하지 못한 상태인데 여기에 기대 취재를 한다면 현장에서 닥칠 어려움은 예상하기 어렵지 않습니다.
이렇게 확보하는 정보의 품질 또한 보장받기 힘들다는 문제도 예상됩니다. 취재원의 얼굴은 기자가 원하는 정보 외에도 많은 부가적인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어쩌면 바로 이런 점을 우려해 취재지원 방안을 도입하려 하는지 모르겠다는 생각도 해봤습니다.
이 같은 현실적인 상황과 시간의 제약에서 하루도, 한 시간도 벗어날 수 없는 기자의 직업 속성을 감안한다면 감정이나 분위기 보다는 치밀한 연구와 합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사안의 발단이 취재과정이다 보니 기자실(기사 송고실)문제는 언급을 하지 않았지만 이 제도의 구체적인 내용이나 도입 여부 등에 대한 연구와 합의는 비단 정부의 몫만은 아닐 것 같습니다.
전국 7천여 기자협회 회원 중에 기대보다는 우려하는 회원이 적지 않은 상황이고 보면 기자협회의 움직임은 ‘주시’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권신오 CBS광주방송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