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사들이 휴대전화를 이용한 ‘모바일 뉴스 서비스’에 계속 뛰어들고 있으나 적절한 수익 모델이 없어 근본적인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언론사의 본격적인 모바일 뉴스 서비스는 중앙일보가 2005년 KTF 이용자에게 ‘뉴스클럽’이라는 뉴스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시작됐다. 이어 조선일보가 ‘모바일 조선’으로 관심을 끌었다. 한겨레는 2006년 한겨레 폰을 통한 모바일 서비스를 개시했다. 동아일보도 지난해 8월부터 ‘모바일 동아’ 서비스를 시작했다. 매경·한경․머니투데이 등도 증권·재테크 등의 경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YTN과 연합뉴스가 속보 뉴스 서비스를 시작했다. YTN은 지난해 10월15일부터 문자메시지(SMS)를 이용한 속보를 ‘YTN 긴급뉴스’라는 이름으로 발송하고 있다. 월 평균 20~30건의 뉴스가 제공되며 요금은 1천원(10% 부가세 별도)이다. 서비스 기간을 1, 3개월 등으로 미리 지정해 받는 선불 서비스다.
연합뉴스는 올해 1월부터 ‘연합뉴스 긴급속보SMS’ 서비스를 개시했다. 과거 연합뉴스 기자들 사이에 제공되던 ‘1보’ 뉴스를 일반에게 확대한 경우다. 요금은 YTN과 같은 1천원이며 한 달에 10~20건을 제공한다. 한번 신청하면 월마다 자동 결제된다.
이처럼 언론사들은 너나없이 모바일 서비스에 뛰어들고 있으나 수익성이 떨어져 고심하고 있다. 언론사 한 관계자는 “국민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취지로 시작했으나 수익도 중요하다”며 “회원을 늘리기 위해 올 여름부터 이통사들과 프로모션을 계획중이며 질 개선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언론사가 모바일 뉴스 시장 진입에 성공하려면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언론사들이 모바일 뉴스 시장에서 성공하기 어려운 환경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동통신사업자들이 망을 독점하고 폐쇄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언론사는 일방적인 제공자에 그친다는 것이다. 모바일 이용자들이 뉴스 콘텐츠에 대한 소비.선호도가 높지 않다는 점도 주된 이유이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이용자들에게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언론사들의 뉴미디어 전략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언론사들은 지난 10년 동안 뉴미디어 분야에 지속적인 투자를 해왔으나 일관된 전략이나 비전 제시는 전무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다른 미디어기업과 파트너십 강화, 세계 동향 파악 등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한국경제 미디어연구소 최진순 기자는 “기존 뉴스를 재가공하거나 전재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며 “이동 중 소비되는 단말기의 특성과 환경에 부합되는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담 인력을 더욱 확충하고 이미지, 동영상 등 모바일에 어울리는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만들어내야 한다는 것이다.
곽선미·장우성 기자
곽선미·장우성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