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안수찬 한겨레 문화부 기자 |
|
|
‘정파 저널리즘’은 한국 모든 언론의 탯줄이다. 한국의 모든 신문과 방송은 특정한 정치 국면을 배경삼아 탄생했다. 정치적 격동기에 편승하여 기업적 발전을 도모했다. 나아가 적극적으로 정치 격동을 주조했다. 영욕의 현대사에서 그들은 언제나 중요한 ‘행위자’였다.
보수 언론과 진보 언론의 역사는 각각 보수 정당과 진보 정당의 역사보다 길다. 이념 제시·정책 연구·엘리트 재생산·대중 동원 등이 정당의 구실이라 할 때, 한국에서 그 기능은 정당이 아니라 언론이 담당했다.
‘정파 저널리즘’은 그러나 한국 모든 기자의 악몽이다. 한국 언론은 정당보다 강력한 이념 정향성을 띠고 있지만 (심지어 한국처럼 낙후된 정당과 비교할 때조차) 내부 민주주의의 바탕은 턱없이 부족하다. 다른 생각과 판단이 끼어들 틈이 없다. ‘분파’를 허락하지 않는 언론사에 하물며 ‘자유로운 영혼의 개인’이 있겠는가.
한국 언론은 상대에 대해 ‘정파적’이지만, 스스로에 대해선 철저히 ‘반정파적’이다. 다른 목소리를 내는 기자는 멸종되고 있다. 소속 정파에 끝내 동의하지 못해 그만 뒀거나 (실은 그만 두지 않으면 안되었거나), 그것에 스스로 동화되어 갔을 것이다.
기자협회의 본연은 ‘기자’에 주목하는 데 있다고 감히 생각한다. 언론이 위기에 처했다고 말하는 것은 부정확한 표현이다. 언론사는 앞으로도 건재할 것이다. 위기에 처한 것은 기자다. 정파 저널리즘으로 시장 이익을 도모하는 조직의 거대한 강압 때문이다. 각자의 흉중에 품었던 ’자유로운 영혼’을 꺼내어 서로 만져주고 위로할 수 있는 자리, 그래서 언론사가 아니라 기자들이 숨쉴 수 있는 자리, 그게 기자협회가 마련해야 할 공간이다.
그건 그냥 자리 편다고 만들어지는 건 아니다. ‘매체 구분없는 기자들의 코뮨’을 방해하는 언론사를 향해 크게 꾸짖는 기자협회의 배포와 능력이 있어야 한다. 정파의 나팔수 노릇을 기꺼이 하려는 기자들은 나중에 초대해도 된다. 구휼의 대상은 지금 당장 죽게 생긴 ‘자유로운 영혼의 기자들’이다. 그제야 그들은 내 편, 네 편으로 구분되는 정파의 탯줄과 악몽을 끊어내고, 너와 나를 털어놓는 행복한 기자 연대를 꿈꿀 수 있다. 그 꿈이 아득해진 것의 일부는 기자협회 책임이다.
한겨레 안수찬 문화부문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