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박선규 청와대 언론2비서관 |
|
|
우장균 기자에 의해 ‘800명 YTN 직원과 그 가족들의 삶의 터를 유린하는 만행’을 저지르는 것으로 지목된 박선규 비서관입니다.
우선 우 기자의 일방적인 주장만을 진실인양 게재한 기자협회보에 깊은 유감을 표합니다. 논란을 부를 수 있는 첨예한 현안에 대해 양쪽 모두의 입장을 반영해야 한다는 것은 언론의 가장 기본적인 자세가 아니던가요? 그러나 저는 우 기자의 주장과 관련해 기자협회로부터 어떤 질문도 받지 못했습니다. ‘언론인의 자질 향상’이라는 기자협회의 존립 목적은 무엇을 위함인지 묻고 싶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청와대는 현재 진행 중인 YTN 문제에 전혀 관여하고 있지 않습니다. YTN 문제에 대한 청와대의 일관된 입장은 구본홍 사장과 노조, 양 당사자가 직접 해결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우장균 기자의 주장은 악의적인 왜곡으로 가득하며 진실과는 거리가 멉니다.
저는 방송을 담당하는 비서관입니다. 청와대에 출입하는 우 기자를 여러 차례에 걸쳐 만났고 많은 이야기들을 나눴습니다. 대부분 저는 우 기자로부터 YTN 구성원들의 고민과 내부 분위기를 전해 듣는 입장이었고 그는 도움을 청하는 쪽이었습니다. 우 기자는 그 같은 상황에서 주고받은 여러 이야기들 가운데 일부만을 짜깁기하고 맥락을 왜곡했습니다.
우 기자는 제게 구 사장 사퇴만이 해결책이라며 ‘청와대가 나서서 도와달라’고 부탁했습니다. 그런 우 기자에게 저는 “청와대가 나설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YTN 문제는 근본적으로 구 사장과 노조, 당사자들이 해결할 수밖에 없는 문제며 그것이 대통령의 뜻이기도 하다”는 답을 했습니다. 우 기자는 이 이야기를 “구 사장을 사퇴 안 시키는 게 대통령의 뜻”이라는 말로 둔갑시켰습니다.
우 기자는 또 제가 90년대 KBS 이야기를 하며 자신을 겁박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우 기자가 의도적으로 생략해버린 전후 맥락을 되살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저는 우 기자에게 “방송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이런 시기에 심한 사내 혼란은 YTN의 미래와 비전에 치명적일 수 있다. 그러니 중견기자들이 나서서 혼란 수습에 역할을 해주는 것이 좋지 않겠느냐”고 이야기했습니다. 그런 제 말에 우 기자는 자신은 힘이 없고 이미 회사를 떠날 각오가 되어 있다며 가족들에게도 이야기를 한 상태라고 답했습니다.
그런 반응에 제가 웃으며 “마지막 단계에 대한 이야기는 그렇게 쉽게 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하고 제가 겪은 90년 KBS 이야기를 들려주었습니다. 회사만이 아니라 자신과 가족의 미래가 걸린 중차대한 문제이니 정말 신중해야 한다는, 언론계 선배입장에서의 진심어린 충고였습니다. 우 기자가 ‘겁박’이라고 주장한 내용의 실체는 바로 이것이었습니다.
저 자신이 불과 몇 달 전까지 기자로 활동하던 입장에서 이런 일을 당하고 보니 정말 답답하고 안타깝습니다. 그러나 개인적인 감상을 넘어 다시 한번 분명히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현재 청와대의 어느 누구도 YTN 문제에 관여하고 있지 않습니다. 사실 그럴 여유조차 없습니다. 정말 청와대가 YTN 문제에 개입하고 있다면 두달 이상의 혼란상과 조직의 기본인 인사권조차 무시되는 지금의 상황이 가능하겠습니까? 이 한가지로 여러 문제에 대한 설명이 가능하리라 믿습니다.
요즘 저 자신이 참 많은 공부를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이번 일을 통해 앞으로 기자들을 만나고 이야기를 나누는 데 굉장히 조심스러워질 것 같습니다. 저나 기자들 모두에게 결코 바람직한 일은 아니겠지만 말입니다.
박선규 청와대 언론2비서관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