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건강검진 제공 수준·일부 복지카드 지급
전반적으로 미미한 실정…“혜택 범위 늘려야”
과도한 업무로 기자들의 건강이 위협받고 있지만 언론사의 지원 대책은 미흡했다. 특히 업무 도중 사망한 기자들에 대한 사후지원은 드물다. 본보가 경향 국민 동아 문화 서울 조선 중앙 한겨레 매경 한경 MBC SBS KBS 등 13개 언론사의 건강지원 실태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언론사들이 기본 ‘건강검진’을 제공하는 수준에 그쳤으며 체력단련비 등은 제공하지 않고 있었다.본보가 13개 수도권 신문·방송사 인사 및 노조 담당자에 의뢰해 알아본 결과 2000년부터 작년까지 11년간 현직기자로 일하다 숨진 이는 20명이나 됐다.
이들 가운데 조선일보는 모두 7명의 기자들이 세상을 떠난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 외에도 언론사들은 평균 1~2명의 현직기자가 별세했다고 답했다. 문화일보와 한국경제는 사망자가 없었다. 이들의 사망 원인은 암이 가장 많았다. 대장암, 직장암, 위암, 췌장암 등이었다. 심근경색과 급사, 우울증에 따른 자살도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교통사고와 익사 등 사고사도 있었으며 연령은 40대가 대부분이었다.
현재 질병을 앓고 있거나 건강이 회복돼 현직근무를 하고 있는 기자들도 많았다. 매일경제 한 관계자는 “11년간 10여 명의 기자들이 질병을 앓아 휴직했거나 복직해 업무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한 관계자는 “매해 건강검진을 실시하면 1~2명은 암이나 기타 질병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다행히 초기에 발견돼 치료를 받고 회복한 경우가 많다”고 밝혔다.
특파원이나 해외 연수·근무 도중 사망한 기자의 숫자도 적지 않았다. 한 일간지는 기자는 미국연수 중 췌장암이 발견돼 사망했다. 한 방송사 기자는 유럽 특파원으로 근무하다가 유명을 달리했다. 직전에 일본 특파원을 다녀온 뒤 사망한 일간지 기자도 있다. 과로에 의한 사망도 있다. 서울신문 40대 정치부 소속 한 기자는 새벽까지 일한 뒤 아침에 운동을 하다가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이처럼 기자들은 중대 질병에 크게 노출돼 있었으나 사망자에 대한 사후 지원은 거의 없었다.
문화일보가 이들 언론사 중 유일하게 정기성 기금을 모금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문화일보는 지난 2008년 노조와 사주조합, 회사 등 삼자 합의로 ‘우수리기금’을 적립해오고 있다. 5천원 이상의 일정금액을 매달 납입, 다치거나 사망한 이가 발생할 경우 기금을 지원하는 것이다. 우수리기금은 사망자에게 1천만원을, 1등급 신체장애는 7백만원, 암이나 뇌졸중은 2백만원을 지급하도록 정해놓고 있다.
언론사들의 건강 관련 지원정책은 매해 실시하는 건강검진과 복지카드, 체력단련비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사마다 지원범위는 천차만별로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그대로 재현됐다.
대체로 신문사들은 한국의학연구소(KMI)의 건강검진을 통해 체혈, 엑스레이 등 간단한 수준의 기본 건강검진을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경향신문은 기본 건강검진을 매해 실시하고 있으며 40세 이상에 한해서 위내시경 등 정밀 건강검진을 추가로 할 수 있다고 답했다. 국민일보도 마찬가지다. 국민은 외근과 내근 직에 차이를 둬 내근은 1년에 한 번 기본 건강검진을 받도록 하고 있다. 다만 국민은 38세 이상이 되면 15만원의 추가 검진 지원금을 지급하고 있다.
반면에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는 매년 40만원 상당의 정밀 건강검진을 제공했다. 조선은 특히 복지카드를 지급, 1년에 1백20만원 한도 내에서 문화 및 체력단련비 명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월 2만원에 사내 헬스장도 운영하고 있다. 매일경제와 한국경제도 사내 헬스장을 운영 중이며 각각 5만원과 2만원에 이용토록 하고 있다.
방송사는 훨씬 폭넓은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지상파 3사는 정밀 건강검진은 물론 문화·복지카드를 모두 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MBC는 월7만원씩 연 80여만원, KBS는 연 1백90만원, SBS는 1백만원 안팎의 복지카드가 지급된다. KBS는 후생시설이 발달해 있다. 사내 한의원, 치과를 운영하고 있어 저렴한 가격에 간단한 치료가 가능하도록 했다.
SBS 한 기자는 “연봉이 많으면서 체력단련비와 복지카드가 지급된다면 질 높은 수준의 복지를 제공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나 대개 언론사들은 임금인상 조정 등을 위해 불필요한 항목을 늘리는 수단으로 체력단련비 등을 제공한다”며 “다른 직군에 비해 지원은 높지 않다”고 밝혔다.
경향신문 한 기자도 “언론사는 사람이 생산성 있는 유일한 존재인데 이들의 건강을 당연히 신경 써야 한다”며 “새해에는 언론사들이 이 부분에 더 많은 정책적 배려를 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곽선미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