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서울중앙지검 신관의 새 기자실 전경 (원성윤 기자) |
|
|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기자실이 지난달 29일 본관 건물에서 신관으로 이동하면서 출입기자들의 숨통이 트였다. 그동안 기자실이 지나치게 협소해 기자들이 출입에 어려움을 겪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원래 옮기기로 한 중앙지검이 계획을 철회하고 고검만 신관으로 이사를 해 중앙지검 취재에는 다소 불편함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기존 본관 기자실은 132㎡(약 40평)의 크기로 32개사 60~70여 명의 기자들이 일해 왔다. 신문, 방송, 통신, 인터넷 등 모든 매체가 좁은 기자실에서 일하다 보니 부스(17개)에 앉은 법조팀장급의 기자들 외 주니어 기자들 사이에는 아침부터 자리 쟁탈전이 심심찮게 벌어졌다.
한 일간지 기자는 “기자실에 앉을 자리를 찾지 못해 근처 매점과 식당으로 메뚜기 생활을 하며 기사 쓰는 일이 비일비재했다”고 전했다.
이전에도 중앙지검 기자실은 장소가 협소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검찰발 기사들이 쏟아지면서 기자들이 계속 늘어났고 매체수는 점차 많아졌다. 출입기자들이 잠을 자는 등 휴식을 취해온 골방도 기자들의 기사 쓰는 공간으로 바꿨다. 소파까지 치우면서 테이블을 가져다 두고 좌석을 마련했지만 이마저도 역부족이었다. 검찰총장이나 장관들이 기자들에게 브리핑이라도 할라치면 앉아 있을 공간마저 없어 서서 해야 하는 일이 다반사였다.
지난 2009년 신청사 건립을 추진하여 2년6개월 만에 건립한 신관은 이전 기자실보다 훨씬 쾌적해졌다. 냉난방·전기시설에 지열과 태양광 활용 시스템을 도입해 운영되는 최첨단 친환경 건물이다. 기자실 역시 132㎡(약 40평)에서 224㎡(약 68평)로 약 1.5배 늘어났다. 기자들 역시 근무환경에는 대체로 만족하는 편이었다.
그러나 당초 신관으로 옮기기로 한 중앙지검이 본관에 남기로 하고 고검만이 신관으로 이전하기로 하자 검찰 출입기자들의 고민이 시작됐다. 본관과 신관의 거리가 약 100m 차이가 나 취재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 불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특히 중앙지검이 대검찰청, 고등검찰청 등을 두고 가장 중요한 출입처로 꼽히는 이유 가운데 하나는 피의자 조사의 최전선에 있기 때문이다. 1990년대 이후 각광받던 특수부, 공안부 시대를 지나 2000년 이후 신설·확대된 금융조세조사부, 첨단범죄수사부, 여성아동범죄수사부 등에서 저축은행 비리와 같은 대형 사건들이 터져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법조팀장들은 긴급회의를 소집해 “중앙지검 기자실은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을 검찰에 전달했다. 검찰은 중재안으로 당초 이전 기자실 공간을 검찰 증거물과의 자료보관용도로 쓰려던 계획을 축소했다. 132㎡(약 40평)의 이전 기자실 공간 가운데 59㎡(약 18평)를 기자들에게 제공하기로 했다. 이에 기자단은 이전 기자실에는 주니어 기자들을 배치해 기자실을 두 군데로 나눠 운영할 계획이다.
방송사 한 기자는 “중앙지검 1층 로비에서 출두하는 피의자들을 만나 이야기를 듣거나 방송사 카메라로 찍는 경우도 많은데 기자실이 본관과 멀어져 취재하기에 어려워질 것으로 본다”며 “타 정부부처에서도 기자실이 본관과 멀어지면 기자들이 한 번이라도 덜 가게 된다고 얘길 한다. 중앙지검에서도 이런 일이 생길까 우려스러운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한편 11일 종합편성채널 가운데 채널A가 유일하게 중앙지검 기자단에 가입했다. 검사실 녹음 논란을 빚은 JTBC와 검찰 브리핑 무단 청취 논란을 빚은 TV조선은 이번 투표에서 탈락했다. 보도전문채널 뉴스Y는 파업을 이유로 불참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자실 간사인 한겨레 김태규 기자(법조팀장)는 “기자단의 투표를 통해 논란이 된 언론사들은 제외하고 채널A만 기자단 가입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원성윤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