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에도 똑같은 언론

[언론 다시보기] 김준일 뉴스톱 대표

김준일 뉴스톱 대표.

▲김준일 뉴스톱 대표.

신년 벽두에 실시된 JTBC 신년특집 대토론회를 보면서 예감할 수 있었다. ‘아 올해도 작년하고 다를 바가 없겠구나’, ‘하던대로 하겠구나’. JTBC의 안일한 토론회 준비가 가장 눈에 띄었다. 정치개혁과 언론개혁 토론회 출연자들의 면면을 보자. 직함은 생략하겠다. 유시민, 진중권, 전원책, 이철희, 박형준…. 십여년째 무슨 토론회가 열릴 때마다 얼굴을 내미는 패널들이다. 정치개혁 토론은 ‘썰전 외전’을 보는 줄 알았다. 이들은 정치권 언저리에 있던 50~60대 남성들이다. 한국사회의 기득권을 상징하는 얼굴이다. 그나마 이창현, 정준희 두 사람이 ‘그 밥에 그 나물’이 아닌 다른 패널이었다. 도대체 한국에는 이들을 제외하곤 토론할 사람이 없는 것일까.


토론회를 보면서는 물 없이 고구마를 몇 개 먹은 듯한 갑갑함을 느꼈다. 개개인에 대한 평가는 하지 않겠다. 토론 주제와는 상관없이 자기 하고 싶은 말만 하는 패널들. 진중권과 유시민의 대립은 눈길은 끌었을지 몰라도 새로운 메시지는 주지 못했다. 친조국과 반조국이라는 갈등이 올해도 계속될 것이란 암울한 전망 외에는 건진 게 없었다. 왜 언론개혁이 필요한지, 필요하다면 무엇을 해야하는지, 미디어 환경은 어떻게 변하는지, 공중이 원하는 것은 무엇인지, 이런 중요한 주제가 산적했지만 토론에서는 거의 다뤄지지 않았다. 주제에서 벗어난 얘기가 나와도 흘러가도록 버려둔 손석희 진행자의 무심함만 눈에 띄었다.


이 글은 JTBC를 비난하려는 게 아니다. 나는 신년토론에서 한국 언론의 현실을 직시했다. 한국 언론은 상시적 위기다. 신뢰의 위기이고 영향력의 위기이고, 산업의 위기다. 문제는 언론계 종사자들이 위기에 상시적으로 노출되면서 내성이 생겼다는 점이다. 작은 변화들은 눈에 띄지만, 시대를 이끌어갈 화두를 던지고, 변화를 선도하는 언론은 보이지 않는다. 그나마 수년간 선두에서 서서 변화를 이끈 것이 JTBC다. 그 JTBC가 이렇게밖에 못하는 것에 암울함을 느꼈다. 그러는 사이에 언론에 대한 신뢰는 갈수록 낮아지고 뉴스수용자는 떠나고 있다.


최근 강준만 전북대 교수는 해장국 언론, 속풀이 저널리즘을 언급하며 이제는 뉴스수용자 문제도 학계에서 탐구대상으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신뢰하는 언론인, 영향력 있는 언론인 상단에는 정치권과 밀착해 있는 유튜브 채널 운영자들이 올라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정파성에 올라타는 언론이 가장 쉬운 길이 됐다. 그렇다고 정파성을 언론소비자 탓으로만 돌리는 것도 옳지 않다. 한국 언론의 정파성이 이들의 정파성을 강화했고 되먹임 현상으로 다시 언론의 정파성이 강화되고 있다.


한국 언론계에 그 누구도 본 적 없는 거대한 쓰나미가 몰려오고 있다. 수년 안에 상당수가 휩쓸려 나갈 것이다. 한탄만 할 순 없다.
뭐라도 새로운 시도를 해보자. 나와 주변 동료들이 기레기라 불리는 모멸감을 이겨내보자. 한국 저널리즘 신뢰도가 세계 최저라는 현실을 인정하고, 신뢰도 향상을 위해 노력하자. 끊임없이 공중과 대화하며 그들의 요구를 반영하되 적당한 긴장감을 유지하려 노력해보자. 나부터, 우리 언론사부터 시작해보자. 그 거대한 쓰나미 뒤에 가치있는 생존을 하는 언론이 누가 될 것인지 궁금하다.

김준일 뉴스톱 대표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